(FAQ 추가) 프로그래머로 태어나 협동조합에 가입하고 나서 행복해진 이유 8가지

KODEC의 이미지

// Java 두 명 타요~

http://kodec.or.kr/

http://www.coopbridge.kr/

// 협동조합! 좋기는 좋다는데…

/* 궁금하신가요? 언뜻 얘기만 전해 듣던 협동조합이란 거…

몬드라곤, 썬키스트, FC바르셀로나…

신문, 뉴스에서 요새 자주 나오는 협동조합 얘기들…

한국에도 최초의 개발자 협동조합이 생긴 지 3년이 되었습니다.

제가 프로그래머로 태어나 KODEC(한국IT개발자협동조합)에 가입하고 나서 생긴 변화를 꼭 알려드리고 싶어요. */

// 1. 간판이 커져서 공공기관과 협상해도 든든

/* 조합원이 되고 나니 조합법인으로서 프리랜서나 중소기업보다 공신력이 생겨서 기존에 불가능하던 공공기관(나라장터 등)과 대기업 일감, B2B, B2C 수주가 수월합니다. 공공기관에서는 요새 협동조합을 팍팍 밀어주고 있습니다. 기존의 다단계 하도급 아래의 수동적인 종업원이 아니라 조합의 주체로서 단체교섭력을 얻게 되어 든든합니다. */

// 2. 프로젝트 비용 협상은 원청자의 입장이 되어

/* 기존의 다단계 하도급에서 탈출해 고객과 쿱브릿지 팀, 개발자 셋이 만나 직접 프로젝트 비용을 결정하게 됩니다. 프로그래머가 직접 온라인, 오프라인 미팅에 참여하거나, 협상을 잘 하는 적임자에게 위임시키실 수 있습니다. 개발자라 대면이 어려웠는데 쿱브릿지 덕분에 온라인 위주의 협상도 가능하니까 무척 편하네요. */

// 3. 프로젝트 잔금을 떼일 염려가 없네

/* 고객이 선입금한 프로젝트 개발비는 쿱브릿지가 에스크로 시스템으로 보호하다가 프로젝트 종료 후 참여한 개발자들에게 보내줍니다. 따라서, 잔금을 받지 못해 곤란을 겪는 경우가 없습니다. */

// 4. 조합원들간의 상부상조와 복리증진

/* 쿱브릿지가 기존의 일감 중계 업체와 크게 다른 점은 “이익을 사장이 가져가냐 조합원이 가져가냐” 입니다.

조합원의 플랫폼 사용료 10%는 조합원들 자신의 공동 인프라를 키우는데 재투자됩니다.

조합원은 스스로 만든 조합의 유, 무형의 각종 인프라를 공동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골치 아픈 세금 정산 문제도 조합과 연계된 세무사가 알아서 처리해 주도록 준비 중입니다. */

// 5. 분쟁 시 중재비용 100% 지원

/* 계약서와 업무지시서를 철저하게 작성하여 분쟁을 사전에 예방해야 합니다. 행여, 분쟁이 발생한다면 대한상사중재원을 통해 중재비용을 100% 전액 지원받게 됩니다. */

// 6. 일하다가 받은 수주 건이 있는데 나는 다른 일로 바쁠 때

/* 원하시면 조합원은 추가 영업도 할 수 있습니다. 일 하다가 수주 기회가 생겼지만 참여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일감을 조합으로 넘길 수가 있습니다. 이 경우 실적에 비례해 프로젝트 개별건 별로 결과에 따른 추가 배당이 생깁니다. 영업과 기획 체질을 주로 하는 조합원이 되실 수도 있습니다. */

// 7. 출자금에 따른 배당을 받을 수도 있다

/* 향후 조합 사업의 이익이 누적되면 출자금에 비례해 보너스처럼 배당을 받으시게 됩니다. */

// 8. 먼 길은 함께 나섭시다

/* 먼 길을 가려거든 함께 가는 것이 좋습니다. 협동조합원이 되심으로서 일자리 창출과 지역사회 발전에 자연스럽게 기여하는 셈이 됩니다. 그러면서 요즘 각광받기 시각한 사회적경제 분야에 대한 안목도 높아지고요. */

// KODEC(한국IT개발자협동조합)을 컴파일 하자!

/* 지금 예비조합원으로 가입하시고 행복한 프로그래머로서 새 인생을 시작합시다

예비조합원은 쿱브릿지를 이용할 수 있으면서도 조합비의 30%인 30만원만 출자하시면 됩니다.

앞으로 어둡기만 한 한국 프로그래머의 미래는 “한국IT개발자협동조합”으로 환하게 밝아질 것입니다!!

“한국IT개발자협동조합”은 한국 IT 분야의 버그를 잡는 최고의 디버거라고 할 수 있어요.

지금 당장 가입용 컴파일 버튼을 RUN!!

전화나 이메일 문의도 환영합니다.

helpkodec@gmail.com

02-313-0773

http://kodec.or.kr/

http://www.coopbridge.kr/

예비조합원 출자금 30만원 입금 계좌:

기업은행 308-088230-04-018 (예금주: 한국아이티개발자협동조합)

*/

궁금하다! IT개발자 협동조합 FAQ 5가지

1. 기존의 인력 중계 업체와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프로젝트 수행 후 이익이 운영 업체 관계자의 주머니에 들어가지 않고 KODEC 운영비로 재투자된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KODEC 운영팀은 조합원들의 동의 하에 업무 공간과 네트워크, 집기, 유지비 등 제반 서비스를 제공해드립니다. 또한, KODEC의 수주에 도움이 되도록 라디오와 지면, 온라인 광고 등의 마케팅과 언론 홍보로써 지원해 드립니다. 공동 세무, 법률 자문, 복지 지원 등의 서비스도 준비 중입니다. 조합 내 동아리 활동도 지원되고 있습니다.
KODEC은 협동조합 법인이기 때문에 사회적경제 분야에 힘을 쏟는 중인 정부와 공공기관, 사회적경제 지원 기관과 단체 등의 각종 지원금과 인센티브의 수혜를 받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볼 때 KODEC의 Win Win 모델은 소수의 이익만을 위하는 소모적인 기존 모델과 달리 지속가능성이 뛰어나 미래가 매우 촉망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KODEC이 여타 IT 분야 협동조합과 어떻게 다르죠?

KODEC은 2013년 2월에 출범해 올해로 3년차에 접어든 대한민국 최초의 IT개발자 협동조합니다. 현존하는 IT 협동조합 중에는 출자금만 받고 활동은 없는 부실한 곳들을 반드시 주의하셔야 합니다. 홈페이지에 공개된 수주 현황이 없다거나 공공기관의 지원금을 못 받는 상태라던가, 업무 공간과 제반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고, 지원팀의 활동이 있는지 등을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스마트하신 IT인 여러분은 옥석을 잘 골라내 주실 것으로 믿습니다.

참고로, 저희 KODEC의 적극적인 프로젝트 수주와 지원선정 현황을 알려드립니다.

"축" 2015 소상공인 협업화사업 한국IT개발자협동조합 선정
http://kodec.or.kr/bbs/board.php?bo_table=m14_2&wr_id=88

★<협동조합간의 협동을 실현한 KODEC>(지문관련 공동R&D)
http://kodec.or.kr/bbs/board.php?bo_table=m14_2&wr_id=87

★를 소개합니다.
http://kodec.or.kr/bbs/board.php?bo_table=m14_2&wr_id=86

"축" 2015년 ◆과학기술인 협동조합 사업화 지원사업◆ 최종선정
http://kodec.or.kr/bbs/board.php?bo_table=m14_2&wr_id=79&page=2

"축" 연구개발서비스업활용 기술사업화 지원사업 최종합격
http://kodec.or.kr/bbs/board.php?bo_table=m14_2&wr_id=77&page=2

"축" KODEC 한국과학창의재단 온라인 사이트 구축 용역 (계약체결)
http://kodec.or.kr/bbs/board.php?bo_table=m14_2&wr_id=65&page=2

"축" KODEC 『2014년 협동조합 경영코칭 지원사업』선정
http://kodec.or.kr/bbs/board.php?bo_table=m14_2&wr_id=59&page=3

"축" KODEC 한국과학창의재단 온라인 사이트 구축 용역 (우선협상대상자선정)
http://kodec.or.kr/bbs/board.php?bo_table=m14_2&wr_id=53&page=3

"축" [SETCOOP] 홍보마케팅 리플렛 지원 프로그램 선정결과(2014.03.30)
http://kodec.or.kr/bbs/board.php?bo_table=m14_2&wr_id=30&page=4

"축" [SETCOOP] 홍보마케팅 지원 프로그램 선정(2014.01.21)
http://kodec.or.kr/bbs/board.php?bo_table=m14_2&wr_id=22&page=5

KODEC 수행 R&D 포트폴리오
http://kodec.or.kr/bbs/board.php?bo_table=m24&wr_id=4

KODEC 수행 SI 포트폴리오
http://kodec.or.kr/bbs/board.php?bo_table=m24&wr_id=3

3. 예비조합원이 뭔가요?

예비조합원은 정조합원이 되시기 위한 이전 단계입니다. 그렇지만 예비조합원도 쿱브릿지 사용권이 주어져 프로젝트 참여가 가능합니다. 예비조합원은 일정 기간 활동 후 정조합원들의 의결에 따라 정조합원의 자격이 주어집니다. 예비조합원은 예비조합원 출자증서와 함께 업무에 공신력을 더하는 한국IT개발자협동조합(KODEC) 명의의 명함과 명찰을 발급 받으실 수 있습니다.

4. 특정 언어 프로그래머만 조합원으로 가입할 수 있나요?
언어에 따른 제한은 없습니다. 쿱브릿지에는 공공기관과 대기업의 SI 프로젝트에는 물론 일반 웹, 모바일앱, 임베디드, 데이터베이스, 게임 등 아이티 모든 분야의 일감이 등록됩니다.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시려면 같은 언어를 다루는 조합원들끼리 팀을 이루시면 됩니다.

5. 프리랜서도 조합원이 될 수 있나요?
네. 프리랜서도 가입 가능합니다. 조합원이 되신 후에 원하실 때 개인사업자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http://www.coopbridge.kr/

http://kodec.or.kr/

12월 중순 런칭하는 쿱브릿지 사이트 스크린샷입니다.

http://kodec.or.kr/

http://www.coopbridge.kr/

File attachments: 
첨부파일 크기
Image icon campingcar.jpg872.02 KB
Image icon screenshot0.jpg936.47 KB
Image icon screenshot2.jpg566.18 KB
Image icon screenshot3.jpg486.46 KB
Rubypops의 이미지

java 를 주력 언어로 쓰는 사람으로서 웃음 터지고 갑니다 ㅋㅋㅋㅋ

이런 좋은 조합 있는거 몰랐네요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루비를 공부하고 사랑하는 프로그래머